최근 ‘제8회 국민안전기술포럼’에서 서울에서 규모 6.5 지진이 발생할 경우 38만 채에 이르는 건물이 손상되고 사상자가 11만 명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습니다. 현재 서울에서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건물은 66만 채에 이르는 상황으로 지진 발생 시 그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요! 지진을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의 내구성을 말하는 내진설계! 키즈현대의 면진설계 비교 실험을 통해 내진설계의 중요성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지진에 대한 구조설계를 '내진설계'라고 말합니다. 지진에 대한 설계로는 내진설계 외에도 '제진설계'와 '면진설계'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지진의 충격자체를 완화시켜 지진을 피하는 면진설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준비물
우드락, 백업(스티로폼막대), 수수깡, 용수철 4개, 압정, 스티로폼공, 상자2개, 골판지, 풀, 테이프, 가위
우드락을 사각형(30x21cm)으로 잘라 압정을 이용해 용수철과 연결해주세요.
원형으로 붙인 백업(스티로폼 막대)과 우드락 사이에 긴 막대나 수수깡을 끼워 준비해주세요.
|1. 내진설계가 없는 일반구조 실험
내진설계를 하지 않은 일반 구조물은 흔들림을 얼마나 버틸 수 있었을까요?
|2. 스티로폼 공을 이용한 면진설계 구조 실험
상자를 쌓아 올린 2층 집 바닥에 스티로폼 공이 건물과 닿을 수 있도록 위치를 맞춰주세요.
지진의 흔들림과 같이 수수깡을 앞뒤로 움직여보세요. 면진설계 구조는 일반 구조물과 어떻게 달랐을까요?
|'내진설계 비교 실험' 영상으로 확인해보세요!
'면진설계'란, '지진을 피한다'는 뜻으로 지진 충격의 하중이 건축물에 닿기 이전에 그 충격을 완화시키는 설계를 말하는데요! 박물관과 같이 보존용도의 건물이나 보존가치가 있는 역사적인 건축물의 경우에 이 면진설계로 보강된다고 합니다.
실험에서 사용된 스티로폼 공이 건축물 하단에서 흔들림을 받아넘겨 그 움직임을 매끄럽게 하는 것이죠! 즉, 지면과 건물의 직접적인 연결을 막아 건물에 전해지는 지진 에너지를 감소시켜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지진에 있어 안전지대는 아니죠!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지진에 대비해 건축물의 내진기능 보강이 필요하겠습니다.
내진설계 비교실험 어떠셨나요~? 내진설계의 효과와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면전설계 구조로 지진을 이겨내는 모습을 통해 내진설계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키즈현대 가족 여러분도 아이와 함께 내진설계 실험을 통해 지진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