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라이프] 작은 설이라 일컫는 우리 명절, 동지 맞이하기 [동지의 유래와 전통 알아보며 동지 팥죽도 끓여봐요]

동지의 유래와 전통 알아보기

동지 팥죽 끓이는 방법


일년 중 가장 밤이 긴 날 동지



12 22일은 일 년 중 가장 밤이 길다는 동지(冬至)입니다. 동지 하면 예부터 이웃과 가족이 함께 나눠먹던 뜨끈뜨끈한 동지팥죽이 생각나는데요. 하지만 요즘은 가정에서 직접 팥죽을 끓이는 풍경이 사라지고 있어 아이들에겐 동지의 의미가 많이 퇴색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시간, 동지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며 우리 민족만의 아름다운 풍습을 되새겨볼까요?

 

 

동지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동지는 작은 설로 대접


동지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 일 년 중 가장 밤이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동지를 기점으로 다시 낮이 길어지므로, 동지는 생명력과 태양의 부활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새로운 시작을 뜻한다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예부터 동지는 작은 설이라 부르며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이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궁중에서도 동지를 가장 으뜸 되는 축일로 생각하여 큰 잔치를 베풀었다고 하는데요. 실제 고려 충선왕 이전까지는 동지를 설로 지냈을 거라는 추측도 있습니다. , 동국세시기 기록에 따르면, 관상감에서는 새해 달력을 궁에 바치고, 이를 관원들은 친지들에게 나눠줬다고 하는데요. 단오에 부채를 선물하는 것과 같이 새해 달력은 동지에 나누는 풍속이었다고 합니다. 오늘날에도 동지를 비롯해 연말연시가 되면 새해 달력을 주고받으니 이 풍속이 이어지고 있다 할 수 있겠죠?

 


동지 팥죽

 


“추위야, 썩 물렀거라! 팥죽 나가신다!


무엇보다 동지 하면 동지팥죽! 전통적으로 우리 조상들은 동짓날 팥죽을 먹으며 팥의 달콤함으로 추위를 이겨냈습니다. 특히 음기가 많은 겨울철에 양기를 뜻하는 붉은 팥이 잡귀를 몰아낼 거라 믿으며 동짓날 팥죽을 쑤어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뿌리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팥죽을 쑬 때 찹쌀로 동그란 단자를 만들어 넣어 끓이는데 단자는 새알만 한 크기로 하기 때문에 새알심이라 부릅니다. 강원도 지역에서는 이 새알심을 자신의 나이 수만큼 먹는다고도 합니다.

 

하지만 동짓날이라도 동지가 음력 11 10일 안에 들면 애동지라 부르며 이때는 10세 미만의 아이들에게 나쁘다 해 팥죽을 쑤지 않고, 대신 팥 시루떡을 해서 먹인다고 하는데요. 올해는 동짓날이 음력으로 11 1일로, 애동지에 해당하므로 아이들이 어린 가정에선 팥죽 대신 팥 시루떡을 먹는 집이 많을 듯도 하네요. 아니면, 팥 칼국수? J


 

팥죽

 

“아이야, 너는 새알심을 빚거라. 난 팥을 삶을 테니…” – 집에서 만드는 동지팥죽!


요즘처럼 한파가 잦은 겨울날, 뜨끈뜨끈한 팥죽 한 그릇이면 몸도 마음도 든든하고 훈훈해질 것 같은데요. 오늘은 직접 아이와 함께 새알심을 빚어 맛있는 팥죽을 만들어보면 어떨까요? 누구나 끓일 수 있는, 초간단 팥죽 레시피를 소개합니다!


 


<동지팥죽 만드는 법>


■ 준비 재료: 멥쌀, 붉은 팥, 찹쌀가루, 소금

  

1) 불리기 멥쌀은 30분간 불려주고, 팥은 1시간 정도 불린 다음 깨끗이 씻어준다.

 

2) 씻은 팥 삶기 냄비에 팥과 물을 부어 끓인다. 중간에 물이 끓으면 물을 한번 버려준 다음 다시 물을 넣고 팥이 무르도록 삶는다.

 

3) 새알심 만들기 찹쌀가루에 뜨거운 물을 조금씩 넣어 익반죽한 다음 손바닥으로 둥글게 빚는다.

 

4) 삶은 팥, 체로 내리기 뜨거울 때 주걱이나 국자로 꾹꾹 눌러가며 앙금을 내린다.

 

5) 끓이기 냄비에 거른 팥 물과 멥쌀을 넣고 끓이다가 쌀알이 퍼지면 앙금을 넣고 끓인다.

 

6) 새알심 넣기 바닥에 눌어붙지 않도록 저어주며 끓이다가 새알심도 넣어주고, 새알심이 동동 떠오르면 소금을 넣고 좀 더 끓여준다.

 

 


팥의 영양학적 가치 – 피부미용 및 소화 촉진, 붓기 제거 등 영양만점 ‘팥’!


팥에는 사포닌과 비타민 B1이 풍부하고, 설탕에 없는 풍부한 단맛을 지니고 있어 다른 음식과 궁합이 좋으며, 소화를 촉진시키고, 체내 불필요한 노폐물들을 배출시켜주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습니다. 실제 팥은 임금의 수라상에도 올라간 건강식품입니다. 옛 문헌에 따르면 흰쌀밥으로 지은 '백반'과 팥 삶은 물로 지은 찹쌀밥인 '홍반'을 함께 올렸다고 하네요.

 

, 옛날 궁궐 여인들은 팥가루로 세안을 하며 피부를 가꿨다고 할 만큼 팥은 피부 미용에도 좋은 식품입니다. 팥은 혈행을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 피부를 부드럽고 촉촉하게 만들며, 팥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혈액순환 문제가 개선되고 모세혈관에 영양분이 제대로 공급돼 탈모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오호, 알수록 더 귀한 팥이로구나!

 

따뜻한 팥죽 한 그릇으로 속도 달래고 추위도 녹이던 시절, 팥죽 한 그릇은 단순한 팥죽 한 그릇이 아니었답니다. 동짓날, 함께 나누며 이웃 간 정을 쌓고 돈독하게 하는 아름다운 음식이었습니다. , 온 가족이 둘러앉아 호호 김을 불며 팥죽 한 그릇씩 하며 덕담을 나누곤 했지요. 하지만 언젠가부터 아름다운 미풍양속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어 아쉽기만 한데요. 따뜻한 아랫목이 그리운 추운 날씨, 올겨울에는 따뜻한 동지팥죽 한 그릇으로 잊혀 가는 아름다운 전통을 되살려보는 건 어떨까요? 아이들이 우리 전통과 따뜻한 나눔의 미학을 지켜가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