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인간과환경

지구온난화를 해결할 수 있다? 놀라운 해양생태계의 힘 블루카본(Blue Carbon)

해마다 점점 심해지고 있는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과학 기술은 물론 생태계도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생물처럼 살아있는 지구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생태계는 지금도 열심히 자정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생태계의 다양한 자정작용 중에서 오늘은 바다에서 일어나는 블루카본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블루카본이란 무엇인가?푸른 숲에 수많은 나무들뿐만 아니라 갯벌이나 염습지의 퇴적물, 잘피와 같은 해초류나 칠면초 같은 염생식물도 탄소를 흡수하여 지구온난화를 막아주고 있는데요. 연안에서 서식하는 식물과 퇴적물을 포함한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블루카본이라고 하고 숲과 같이 육상생태계에서 흡수하는 탄소를 그린카본, 그리고 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블랙카본이라고 합니다. 지난 2009년 UN과 IUCN이 공동으로 출간한 해양의 탄소흡수에 대한 종합 평가 보고서에 처음 언급된 블루카본은 육상생태계보다 최대 50배 이상의 탄소 흡수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해양식물의 탄소 저장 방법

바닷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해양식물들은 광합성에 의해 탄소를 흡수하고 영양분으로 합성하며, 바이오매스의 형태로 토양에 탄소를 저장합니다. 또 흡수한 탄소의 일부분은 다시 배출하는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는데요. 이렇게 염습지에 서식하는 염생식물과 갯벌에 서식하는 미세조류, 그리고 조하대에 서식하는 해초류에 의한 블루카본은 울창한 숲의 그린카본 못지않게 탄소를 흡수하고 있습니다. 해양생태계가 육상생태계보다 면적은 좁지만 탄소 흡수량이 비슷할 수 있는 이유는 해양식물 자체가 탄소를 갖고 있기 보다 해양 침전물 또는 토양에 저장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지구온난화 해결에 큰 도움을 주고 있는 블루카본 자원인 해양생태계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블루카본 자원인 해양생태계의 종류블루카본 자원인 해양생태계로는 먼저 해초류가 있습니다. 비록 바다 면적의 약 0.1%에 불과하지만 해저 탄소 매장량의 약 10~18%를 차지하고 있는 탄소 흡수 자원입니다. 높은 탄소 축적률을 자랑하는 해초류는 탄소를 해양 침전물 형태로 저장하고 장기간 보관하지만 해안 개발과 해수면 상승으로 빛의 투과율이 저조해지면 축적 효율 역시 감소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두 번째 블루카본 자원인 해양생태계로는 남태평양 섬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염생식물인 맹그로브가 있습니다. 이 맹그로브 숲은 지구에서 탄소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삼림 환경으로 풍부한 지하 퇴적물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전한 맹그로브 숲의 토양 상층 1m에는 1헥타르(10,000m2) 당 약 3,754톤의 탄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는 전 세계 탄소 매장량의 약 10%에 가까운 규모입니다. 이런 해초류나 염생식물 외 갯벌과 염습지 같은 곳에서도 블루카본이 존재하는데요. 이 지역에서는 다양한 생물들이 탄소를 흡수하고 최대 8m 깊이까지 바이오매스 퇴적물을 형성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가 보유한 블루카본 자원

우리나라에는 2,495km2 규모의 세계 5대 갯벌이 있어 비교적 풍부한 블루카본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셈입니다. 해양수산부는 작년부터 5년 간 100억원을 투자하여 ‘블루카본 평가체계 구축 및 관리 기술 개발’ 연구를 추진하는데요. 아직 블루카본은 국제 협약 상의 새로운 탄소 흡수원으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으나 세계 각국에서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블루카본이 새로운 탄소 흡수원으로 인정받게 된다면 우리나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총 95종의 염생식물이 살고 있어서 이들 역시 중요한 블루카본 자원으로 이용될 것입니다.


이와 같이 바다는 우리에게 주는 것이 참 많습니다.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풍부한 자원, 그리고 지구온난화 현상을 막아주는 블루카본까지 우리의 삶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존재죠. 우리 모두 블루카본의 중요성과 우리나라가 가진 블루카본 자원의 가치를 알고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될 것입니다.